오늘은 만성피로 치료 방법과 원인은 무엇인지 한번 정리해봤어요. 만성피로는 완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피로가 지속되는건 본인 몸의 다른 장기가 피로해지거나 수면장애, 자율신경계 혼란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어떤음식을 먹으면 좋다고 꼭 먹어야 되는게 아니라 본인 몸 상태를 확인하고 간이 안좋으면 간기능 향상으로 수면장애라면 수면호흡을 개선한다던지 포커스를 맞춰야하겠죠. 이번에는 이에 대한 만성피로 치료 방법 및 원인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 생활 속에서 가능한 원인은 무엇이 있을까?
a. 빈혈
혈색소 수치가 낮은 철 결핍성 빈혈은 전신의 권태감을 일으킵니다. 빈혈에 의해 뇌가 산소 결핍 상태가 되기 때문에 피로, 권태감 외에 두통, 현기증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는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자주 나타납니다.
b. 자율신경의 혼란
자율신경은 낮에 활발하게 움직일때 활성화되는 교감신경과 야간이나 휴식일때 작동하는 부교감 신경이 있습니다. 밤에도 부교감신경보다 교감신경이 계속 우위에 선채로 있으면 자율신경의 균형이 무너져 흥분상태가 지속되고 불면증이 생기고, 점점 피로가 축적될 수 있습니다.
c. 수면시 호흡
본래 수면중에는 피로를 회복해야 맞는거지만 수면시 호흡에 문제가 있으면 오히려 피로감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수면시 호흡이 흐트러지는것으로 심박수 및 혈압을 올리고 뇌에 혈액 흐름을 유지하려고 자율신경이 작동합니다. 그 결과 피로를 충분히 회복하지 못하고 만성피로로 이어집니다.